화물 특수차량 주차문제, 주민과 함께 해결하기
차량 보급이 늘어나면서 교통사고와 차량 정체뿐만 아니라 주차 관련 시비와 분쟁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영 주차장을 확보하고,
특수차량·화물차량·대형 승합차의 경우 차고지 신고를 의무화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법 주정차는 끊이지 않는데요.
특히 특수차량·화물차량·대형 승합차는 업무 현장에 장시간 머물러야 하는 경우가 많아
이면도로나 공터에 불법 주정차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법 주정차 차량은 차량과 보행자의 시야를 방해해 추가적인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어요.
자칫 인명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 주민들의 불안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습니다.
안산시 신길동 주민자치회는 이러한 상황을 공론화하고,
마을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해결 방안을 찾고자 올 한 해 도미니를 통해 작은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오늘은 경기도의 차량 등록 현황과 전국 교통사고 현황을 비교해 보고, 작은 연구 결과를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2023년도 차량 등록 현황
; 데이터는 경기데이터드림 데이터 기준일인 2023년 9월로 모두 통일함
2023년 9월 기준, 전국에 등록된 차량 수는 총 25,845,648대입니다.
이 중 25%인 6,488,342대가 경기도에 등록되어 있었어요.
2023년 인구 기준 전국 인구의 26.6%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등록 비율은 인구비율과 비슷한 수준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인구수 18.2%를 차지하는 서울의 경우 등록 차량 수는 전체 차량의 12.4%에 그쳐,
경기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차량이 등록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로 인해 경기도 내 일부 지역에서는 주차 문제와 차량 정체가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거주지 인근에서 발생하는 주차 문제는 주민 간의 불화를 일으킬 수 있고,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 때문에 늘 뜨거운 감자로 여겨집니다.
경기도의 시군별 등록 차량 수를 보면 지역별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어요.
가장 차량이 많은 시군은 수원시, 화성시, 용인시로,
이 세 지역은 경기도에서도 거주 인구가 많은 인구 밀집 지역입니다.
이 지역들은 경제활동을 위한 차량 의존도가 높아 교통 혼잡과 주차 공간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가평군, 연천군 등은 인구 밀도가 낮고 등록 차량 수도 적은 지역이예요.
이러한 지역들은 상대적으로 주차 문제나 교통 혼잡 문제는 적지만, 특수 차량과 화물차의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은 대중교통 연결성이 낮고 주정차 시설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여,
이동 편의성과 안전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경기도에 등록된 특수 차량과 화물 차량은 주로 연천군, 여주시, 포천시에 많습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경제적 특성과 거주민의 직업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이들 차량은 차고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형 차량이 주차할 공간이 많은
경기도 외곽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앞서 언급한 것처럼, 특수 차량, 화물차량, 대형 승합차의 경우
등록된 차고지가 아닌 업무 장소 인근에 밤샘 주차를 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게다가 차고지로부터 거주지와의 이동 문제로 주택가 이면도로나 공터에 주차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사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불법 주차에 대한 단속은 쉽지 않은 상황이예요.
한편, 경제 활동이 집중된 서울과 도시철도로 연결된 광명시, 부천시, 의정부시 등에서는
승용차와 승합차의 비율이 낮아 주차와 차량 정체로 인한 피로도도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량과 도로유형별 사고 현황
그렇다면 실제로 특수 차량과 화물차량의 밤샘 주차나 불법 주정차가 교통사고를 얼마나 유발할까요?
관련된 정확한 데이터는 없지만, 도로교통공단에서 운영하는 TASS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을 통해 일부 추론해 보았습니다.
먼저 차종별 교통사고 현황을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기준 도로교통공단에 집계된 교통사고는 총 198,296건이었으며,
이 중 이륜차, 원동기, 개인형 이동장치를 제외한 차량 및 기타 탈것으로 인한 사고는 174,194건이었습니다.
그중 승용차 사고가 131,921건으로 75.7%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승용차의 경우 다양한 경력의 운전자들이 운행하기 때문일 거예요.
그렇다면 화물차와 특수 차량 사고는 얼마나 될까요?
화물차 사고는 24,409건(14.0%), 특수차 사고는 1,214건(0.7%),
건설기계 사고는 2,088건(1.2%), 농기계 사고는 290건(0.2%),
기타 사고는 2,457건(1.4%)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승합차의 경우 소형과 대형 승합차가 구분되지 않아 제외했으며,
이를 제외한 승용차와 승합차 외 차량으로 인한 사고 비율은 총 17.5%입니다.
전국 화물 및 특수 차량 비율이 14.9%인 점을 고려할 때, 등록 수에 비해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는 셈입니다.
도로 종류도 교통사고와 관련이 있을까요?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2023년에 발생한 교통사고 중 74.6%가 광역시와 일반 시도,
즉 시내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나머지 25.4%는 일반국도, 지방도, 고속국도 등에서 발생했습니다.
경기도의 경우, 전체 14,902,441m의 도로 중 35%가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로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도로의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사고 위험 또한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리적 환경과 지역적 특색을 고려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주차된 대형·특수·화물 차량으로 인한 사고에 대한 구체적인 집계는 없어, 주민들이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도미니 작은 연구 : 대형차량 주차문제 주민과 함께 해결하기
2024년 도미니 작은 연구 중에는 대형·화물·특수 차량의 주차 문제로 인한
주민 갈등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있었습니다.
안산시 신길동 주민자치회의 사례인데요.
대형·화물·특수 차량의 상습 불법 주차 상황이 시간과 요일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주민, 부녀회장, 자율방범대와의 인터뷰도 진행했습니다.
인터뷰를 통해 주민들은 이러한 불법 주정차가 지역 가치 하락과
치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며, 마을 자율방범대 담당자는 정확한 데이터는 없지만,
이러한 불법 주정차가 주민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응답했습니다.
다만, 불법 주정차를 하는 이들 역시 일부는 지역 주민이기 때문에 적절한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 신길동 주민자치회 작은연구 결과보고서>
신길동 주민자치회는 보고서를 통해 ‘갈등의 원인은 사람 자체가 아닌 현실적인 어려움에 있다’고 분석하며
‘상호 이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다지는 시간이 되었다’고 연구를 마무리했습니다.
결국 차고지를 등록했더라도 차량 접근과 안전 문제를 고려할 때, 대형·화물·특수 차량이 주정차할 수 있는
대형 주차장의 착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겠죠.
경기도는 주정차 문제로 인한 도민 갈등과 불편을 해결하고자 2027년까지
3,651억 원을 투입하여 주차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구도심 주거 밀집지 등 주차난이 심각한 215개 구역 중 39개 구역에서 주차난이 해소되길 기대하고 있어요.
(보도자료 : 도, 2027년까지 3천651억 투입해 주차장 1만 3천864면 확보 https://gnews.gg.go.kr/briefing/brief_gongbo_view.do?BS_CODE=S017&number=55805 )
(사진 출처 : 경기도뉴스포털 누리집)
하지만 이 정책 역시 대부분 승용차와 소형 승합차를 위한 주차장 확보를 우선하고 있어,
여전히 대형·화물·특수 차량을 위한 주차장 확보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번 작은 연구처럼 주민들이 직접 상황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책 제안을 한다면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마을은 어떤 문제를 고민하고 있나요?
2025년 도미니 작은 연구에 신청해 주민들과 함께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보세요.
> 경기도마을정책플랫폼 도미니 바로가기 : https://domini.or.kr/
참고 데이터 :
경기데이터드림 자동차등록 집계 현황https://data.gg.go.kr/
KOSIS 국가통계포털 : https://kosis.kr/index/index.do
국토교통 통계누리 자동차 등록 현황 보고 :https://stat.molit.go.kr/
경기통계 경기도 도로정보 : https://stat.gg.go.kr
TASS 교통사고분석시스템 :https://taas.koroa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