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제목 등록일
안산시 마을공동체 집중분석 2024-04-19 09:43:38

2023년 경기도 마을공동체 기초조사 데이터 스토리 05

 

안산시 마을공동체 집중분석


엄관용(협동조합 리쿱 이사)

 

안녕하세요. ‘경기도 마을공동체 데이터 아카이브방문자 여러분!

 

2023년 경기도 마을공동체 기초조사(이하 2023년 기초조사) 데이터 스토리 5호입니다. 이번 주제는 안산시 마을공동체 집중분석입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 경기도 시군 매칭 마을공동체 공모사업(이하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31개 시군 마을공동체 공모사업(이하 시군 공모사업)에서 안산시의 마을공동체가 참여한 공모사업 현황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마을공동체는 마을에 터를 잡고 활동합니다. 그런데 마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합의 지형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경기도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 조례(201281일 제정)마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마을이란 주민이 생활환경을 같이하며 주민 서로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바탕으로 주민 스스로의 협력을 통해 형성한 삶터(공간), 사람(조직) 및 공동체(관계)가 통합된 집단을 말한다.” 개인적으로 마을을 압축적으로 잘 표현했다는 생각입니다. 각자 마을에 대한 생각이 다르겠지만, 생활환경을 같이하는 공간, 조직, 관계가 통합된 집단으로서 마을이 광역시도나 시군구와 같이 넓은 범주는 아니라는 점은 생각이 일치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경기도 마을공동체 데이터 아카이브’(이하 경데아)데이터 스토리31개 시군 중심으로 마을공동체의 현황을 분석했습니다. 경데아가 광역 단위 데이터의 저장소이기도 하고,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 기준을 31개 시군으로 하는 것이 사례도 많고, 익숙하기도 하며, 분석적 함의를 도출하기에 편리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시험적으로 범위를 좁혀서 안산시의 30개 법정동을 기준으로 마을공동체 현황을 살펴보려 합니다. 왜 안산시를 선택했을까요? 선택의 기준은 비교적 단순합니다. 집합 데이터 분석은 정확성이 생명입니다. 2023년 기초조사를 통해 수집된 31개 시군 데이터 중에서 마을공동체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시군 공모사업도 꾸준히 하고 있으면서도, 주소 정보를 통해 마을공동체가 속한 법정동을 명확히 추출할 수 있는 시군이 안산시이기 때문입니다. 사례 수, 연속 사업, 데이터의 정확성을 모두 충족하는 시군은 사실 그리 많지 않습니다.

 

 

1. 분석 데이터 및 출처

 

이번 분석은 2023년 기초조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우리가 주목한 안산시 사례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주요 데이터 소스에서 추출되었습니다. 이 데이터들은 경데아에서 직접 확인하고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01> 분석 데이터 출처

 

관리 번호

구분

데이터명

링크

2023_마을 데이터_01

사업현황

참여단체별 경기도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참여 현황(20192023)

https://www.ggmaeuldata.or.kr/sub05/sub01.php?type=view&uid=430

2023_마을 데이터_02

사업현황

참여단체별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참여 현황(20192023)

https://www.ggmaeuldata.or.kr/sub05/sub01.php?type=view&uid=429

2023_마을 데이터_03

사업현황

참여단체별 시군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참여 현황(20192023)

https://www.ggmaeuldata.or.kr/sub05/sub01.php?type=view&uid=428

 

 

 

2. 20192023년 안산시 마을공동체 일반 현황

 

아래 표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안산시 마을공동체가 경기도-시군 매칭,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안산시 공모사업에 참여 및 지원받은 현황입니다. 동 기간 안산시의 마을공동체는 3개 유형의 공모사업에 총 414개가 참여하였고, 지원받은 보조금 총액은 약 25억 원(2,500,241,000)입니다. 사업 유형별로 살펴 보면, 동 기간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에서는 179개 공동체가 약 136천만 원(1,358,004,000)을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에서는 19개 공동체가 약 35천만 원(352,111,000)을 지원받았습니다. 안산시의 시군 공모사업에서는 216개 공동체가 약 79천만 원(790,126,000)을 지원받았습니다.

 

<02> 20192023년 안산시 마을공동체 현황

 

구분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안산시 공모사업

합계

공동체

()

보조금

(천원)

공동체

()

보조금

(천원)

공동체

()

보조금

(천원)

공동체

()

보조금

(천원)

2019

56

289,936

2

100,000

77

327,852

135

717,788

2020

47

415,258

3

85,000

40

120,364

90

620,622

2021

31

308,900

7

112,011

51

112,750

89

533,661

2022

27

188,910

5

45,100

44

189,160

76

423,170

2023

18

155,000

2

10,000

4

40,000

24

205,000

합계

179

1,358,004

19

352,111

216

790,126

414

2,500,241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안산시 마을공동체는 공동체 수와 보조금 액수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2019년 안산시 마을공동체는 135개 공동체가 약 7억 원을 지원받았으나, 2023년에는 24개 공동체가 약 2억 원을 지원받는 데 그쳤습니다. 감소 추세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숫자입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줄곧 감소 추세였으나, 2022년 대비 2023년의 변화 폭이 특히 두드러집니다. 특정 시기 데이터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해당 시기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를 살펴보게 하는 단서입니다. 3개 공모사업 유형 중 안산시 자체 공모사업이 2023년에 전년 대비 크게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데이터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오늘은 이 질문만 던지고 다음 이야기를 진행하겠습니다. 

 

다음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공모사업 유형별 안산시 마을공동체가 지원받은 보조금의 평균값, 중간값, 최대값, 최소값을 확인하겠습니다.

 

<03> 20192023년 공모사업 유형별 안산시 마을공동체 보조금 평균값, 중간값, 최대값, 최소값

 

공모사업 유형

공동체()

보조금(천원)

평균값(천원)

중간값(천원)

최대값(천원)

최소값(천원)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179

1,358,004

7,587

5,000

85,000

1,820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19

352,111

18,532

5,000

50,000

100

안산시 공모사업

216

790,126

3,658

2,000

10,650

1,000

합계

414

2,500,241

6,039

5,000

85,000

100

 

 

2019년부터 2023년까지 3개 공모사업 유형을 합산해 보면, 안산시 마을공동체는 평균적으로 공동체당 약 6,039,000원을 지원받았고, 가장 많은 보조금을 지원받은 공동체는 85,000,000(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중 시군별 거점 사업)이며, 가장 적은 보조금을 지원받은 공동체는 100,000(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중 삼삼오오 사업)입니다. 공모사업 유형별로 보면, 평균값에서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이 다른 유형의 공모사업보다 공동체당 더 많은 보조금을 지원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아래 그림은 데이터 이상치의 영향을 줄이면서 데이터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박스 플롯(Box plot) 시각화입니다. 박스 플롯 시각화 분석은 데이터의 분포, 중앙값, 사분위수, 이상치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그래픽 도구입니다. 박스 플롯을 사용하면 소액 및 고액 지원 공동체의 분포와 이상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다른 사업 유형과의 비교 분석이 쉽습니다.


 

 

박스 플롯에서 확인하실 수 있듯이, 안산시 공모사업은 다른 유형보다 낮은 금액 범위에 좁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은 가장 넓은 범위에 걸쳐 있으나 몇몇 이상치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일부 공동체에 매우 높은 보조금을 지급한 사례가 있습니다. 통상적으로는 안산시 공모사업보다는 조금 높게,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보다는 낮은 범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반면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은 삼삼오오 사업과 같이 1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산시와 경기도가 마을공동체 지원에 있어 형평성 있는 정책을,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가 특성화를 보다 강조한 정책을 추진한 결과로 보입니다.

 

 

2. 도비와 시군비의 상관관계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안산시 마을공동체가 지원받은 보조금 총액을 구성하는 도비와 시군비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연도별 보조금 액수와 구성비를 나타낸 것입니다.

 

<04> 20192023년 연도별 안산시 보조금 액수와 구성비

 

사업

연도

총액

(천원)

국비

(천원)

국비 비율

도비

(천원)

도비 비율

시군비

(천원)

시군비 비율

자부담

(천원)

자부담 비율

2019

717,788

0

0.00%

250,968

34.96%

462,798

64.48%

4,022

0.56%

2020

620,622

0

0.00%

237,578

38.28%

378,222

60.94%

4,822

0.78%

2021

533,661

0

0.00%

229,661

43.03%

300,250

56.26%

3,750

0.70%

2022

423,170

4,000

0.95%

109,373

25.85%

306,497

72.43%

3,300

0.78%

2023

205,000

8,000

3.90%

60,500

29.51%

136,500

66.59%

0

0.00%

합계

2,500,241

12,000

0.48%

888,080

35.52%

1,584,267

63.36%

15,894

0.64%

 

 

3개 유형 공모사업의 보조금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 국비 + 도비 + 시군비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 도비

안산시 공모사업 : 시군비 + 자부담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의 경우 도비와 시군비 매칭이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시군비가 많이 투입될수록 동 공모사업에서 지원받은 공동체의 수와 보조금 총액도 증가할 것이라는 가정은 일견 당연해 보입니다. 우리는 이 당연해 보이는 가정이 수치로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해 보려 합니다.

 

두 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선형 관계의 강도를 측정하는 통계적 지표로, 아래와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피어슨 상관계수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식이 복잡해 보이니 머리에서 지우고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한 예제로 대체하겠습니다. 아래의 3가지 사례를 보시기 바랍니다.

 

<05> 상관관계 예시

 

구분

도비의 변화

시군비의 변화

사례(1)

1, 2, 3, 4, 5

2, 4, 6, 8, 10

사례(2)

1, 2, 3, 4, 5

10, 8, 6, 4, 2

사례(3)

1, 2, 3, 4, 5

2, 1, 2, 1, 2

 


 

 

사례(1)은 도비가 1씩 증가할 때, 시군비가 2씩 동일 비율로 증가합니다.

사례(2)는 도비가 1씩 증가할 때, 시군비가 2씩 동일 비율로 감소합니다.

사례(3)은 도비가 1씩 증가할 때, 시군비의 변화에 일정한 패턴이 없습니다.

 

3가지 사례를 피어슨 상관계수 수식에 넣어 보면 사례(1) = 1, 사례(2) = -1, 사례(3) = 0이 나옵니다. 피어슨 상관계수 1이란 두 변수가 완벽한 양의 선형 관계를 맺고 있음을 말합니다. 반대로 피어슨 상관계수 1이란 두 변수가 완벽한 음의 선형 관계를 맺고 있음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피어슨 상관계수 0은 어느 방향으로든 관계가 없음을 말합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상관계수의 의미를 직관적으로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안산시 마을공동체가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에서 지원받은 보조금에서 국비와 시군비만 추출하여 연도별로 정리하면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06> 20192023년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에서 안산시 공동체가 지원받은 보조금 구성

 

사업연도

도비와 시군비 합계(천원)

도비(천원)

도비(비율)

시군비(천원)

시군비(비율)

2019

289,936

150,968

52.07%

138,968

47.93%

2020

415,258

152,578

36.74%

262,680

63.26%

2021

308,900

117,650

38.09%

191,250

61.91%

2022

184,910

64,273

34.76%

120,637

65.24%

2023

147,000

50,500

34.35%

96,500

65.65%

합계

1,346,004

535,969

39.82%

810,035

60.18%

 

 


 

 

위 표에 근거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하면 0.904입니다. 이 값은 두 변수 사이에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 시군비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 도비도 비슷한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한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상관관계는 인과관계가 아니므로, 시군비의 변동이 도비에 영향을 미치는지, 도비의 변동이 시군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데이터만 가지고 판별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광역과 시군의 매칭 사업은 통상적으로 시군비 예산에 맞춰 광역의 예산이 정해집니다. 안산시가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에 예산을 많이 배정하면 할수록 그에 비례하여 경기도의 예산이 정해질 것이므로, 특히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에서 시군의 정책 연속, 유지, 확장의 의지가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점은 명백해 보입니다. 예를 들어, 안산시가 시군비로 약 26천만 원을 지원한 2020년에는 마을공동체 47개가 보조금 총액 기준 약 42천만 원을 지원받았지만, 안산시가 시군비로 약 1억 원을 지원한 2023년에는 18개 공동체가 보조금 총액 기준 약 15천만 원을 지원받는 데 그쳤습니다. 2020년 대비 2023년에는 활동하는 마을공동체 수는 29개가 줄었고, 보조금은 약 27천만 원이 감소했습니다.

 

 

3. 안산시 법정동별 마을공동체 현황

 

안산시에는 20231231일 기준 인구수가 가장 많은 상록구 사동(101,601)부터 인구수가 가장 적은 단원구 목내동(100)까지 총 30개의 법정동이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인구수가 많을수록 마을공동체의 수가 많고, 보조금 지원액이 크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인구수가 많으면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많다고 볼 수 있고, 공동체를 많이 형성할수록 보조금 지원액도 늘어날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경기도 31개 시군의 경우 시군의 정책적 의지에 따라 인구수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시군 내에서는 마을공동체 공모사업이 비교적 동등한 기회 보장이 되므로, 인구수가 공동체 수와 보조금 액수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안산시는 과연 어떨까요?

 

2019년부터 2023년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시군 공모사업의 안산시 30개 법정동별 공동체 수, 보조금 현황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표의 정렬은 20231231일 기준 안산시 30개 법정동의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07> 20192023년 안산시 법정동별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공동체 수, 보조금 현황

 

연번

법정동

인구수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시군 공모사업

합계

공동체

()

보조금

(천원)

공동체

()

보조금

(천원)

공동체

()

보조금

(천원)

공동체

()

보조금

(천원)

01

사동

101,601

26

175,436

3

150,000

36

126,442

65

451,878

02

고잔동

86,717

33

239,589

2

70,000

33

137,688

68

447,277

03

본오동

76,156

18

110,820

2

10,000

31

86,360

51

207,180

04

선부동

64,565

12

96,834

1

5,000

13

46,650

26

148,484

05

초지동

44,451

7

114,820

0

0

14

35,820

21

150,640

06

와동

36,697

10

99,000

1

5,000

8

50,500

19

154,500

07

월피동

30,746

11

66,000

1

4,000

6

29,840

18

99,840

08

원곡동

29,834

9

67,000

0

0

12

46,152

21

113,152

09

일동

26,666

16

112,000

7

103,011

21

87,250

44

302,261

10

부곡동

26,178

3

10,000

0

0

4

23,000

7

33,000

11

성포동

25,096

5

20,000

0

0

6

16,500

11

36,500

12

신길동

21,222

5

39,500

1

5,000

10

39,194

16

83,694

13

이동

19,583

7

47,467

0

0

6

17,480

13

64,947

14

건건동

12,959

10

89,228

1

100

6

24,500

17

113,828

15

수암동

6,215

4

55,000

0

0

3

12,750

7

67,750

16

대부남동

3,208

0

0

0

0

1

2,000

1

2,000

17

팔곡이동

2,988

0

0

0

0

2

3,000

2

3,000

18

대부북동

2,937

1

9,370

0

0

2

3,000

3

12,370

19

장상동

2,248

0

0

0

0

0

0

0

0

20

대부동동

2,169

0

0

0

0

0

0

0

0

21

사사동

2,122

0

0

0

0

0

0

0

0

22

팔곡일동

1,750

0

0

0

0

1

1,000

1

1,000

23

원시동

823

0

0

0

0

0

0

0

0

24

선감동

742

1

3,000

0

0

0

0

1

3,000

25

성곡동

464

0

0

0

0

0

0

0

0

26

화정동

363

1

2,940

0

0

1

1,000

2

3,940

27

양상동

348

0

0

0

0

0

0

0

0

28

장하동

211

0

0

0

0

0

0

0

0

29

풍도동

149

0

0

0

0

0

0

0

0

30

목내동

100

0

0

0

0

0

0

0

0

합계

629,308

179

1,358,004

19

352,111

216

790,126

414

2,500,241

 

 

표만 보아도 법정동의 인구수가 많을수록 공동체가 많고, 보조금 액수가 크다는 사실이 확연하게 드러납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3개 유형 마을공동체 공모사업에서 공동체의 수가 많은 법정동은 고잔동(68; 인구수 2), 사동(65, 인구수 1), 본오동(51; 인구수 3) 순입니다. 보조금 액수는 사동(45천만 원: 인구수 1), 고잔동(45천만 원; 인구수 2), 본오동(21천만 원; 인구수 3) 순입니다. 반면 인구수가 100명에 불과한 목내동을 포함하여 장상동, 대부동동, 사사동, 원시동, 성곡동, 양상동, 장하동, 풍도동, 목내동의 인구수가 적은 9개 법정동은 동 기간 마을공동체 공모사업 활동이 전혀 없습니다.

 

피어슨 상관계수를 통해 구체적인 수치로 확인하겠습니다. 다양한 변수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히트맵(Heat map)을 그려 보겠습니다. 히트맵은 열 지도라고 번역할 수 있는데, 데이터의 수치적 값을 색상의 강도로 표현하는 시각화 도구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치가 높을 때 뜨거운 색상(: 빨간색)으로, 낮을 때 차가운 색상(: 파란색)으로 표현합니다. 히트맵은 데이터의 패턴, 상관관계, 변동성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아래는 인구수, 공동체 수”, “인구수, 보조금 액수간의 상관관계를 3개 공모사업 유형별로 시각화한 히트맵입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3개 유형 공모사업별 안산시 법정동 인구수와 공동체의 수 간 상관관계는 안산시 공모사업 0.94,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0.92,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0.50입니다. 인구수와 보조금 액수 간 상관관계는 안산시 공모사업 0.92,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 0.90,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0.65입니다.

 

상관계수 0.9 이상은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냅니다. 안산시 마을공동체는 법정동의 인구수가 많을수록 거의 정비례로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과 안산시 공모사업의 공동체 수가 많고, 보조금 액수가 높다고 하겠습니다. 반면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의 경우 인구수와 공동체 수의 상관계수는 0.50, 인구수와 보조금 액수의 상관계수는 0.65입니다. 낮은 수치는 아니지만, 다른 유형보다는 인구수가 결정적인 변수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상관관계가 인과관계가 아니라는 전제하에 우리는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이 공동체 활동이나 보조금 배분에 있어서 인구수가 아닌 다른 요소들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해석할 여지를 줍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이 특정 주제나 사업 목표에 더 중점을 두고 있거나, 특정한 요구나 조건을 충족하는 공동체에 더 많은 자금을 배분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상관계수는 전체적인 경향을 보여주지만, 모든 개별 사례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개별 공동체나 지역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의 경우 공동체 수가 적어 상관계수의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4. 안산시 법정동별 마을공동체 공모사업의 인구 규모 대비 지수화

 

안산시의 법정동별 인구 규모는 편차가 매우 큽니다. 인구수가 가장 많은 사동의 인구는 101,601명인데, 인구수가 1만 명이 되지 않는 법정동이 수암동(6,215)부터 목내동(100)까지 16개나 됩니다. 인구수와 마을공동체 수, 인구수와 보조금 액수 간 강한 상관관계를 확인했듯이, 인구 규모를 기준으로 지수화하여 비교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산시 법정동 인구수를 반영해서 마을공동체와 활성화와 보조금 지원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지수 도출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구 규모 대비 공동체 지수 계산식

 

 

법정동별 공동체 수

 

 

법정동별 인구수

 

 

법정동 전체 공동체 수

 

 

법정동 전체 인구수

 

 

 

인구 규모 대비 보조금 지수 계산식

 

 

법정동별 보조금 총액

 

 

법정동별 인구수

 

 

법정동 전체 보조금 총액

 

 

법정동 전체 인구수

 

 

 

다만 인구수와 마을공동체의 수가 너무 적은 법정동의 경우, 지수화 과정에서 왜곡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법정동은 통계적 유의미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소수의 사례(: 단 한 개의 공동체 활동이나 보조금 지원 사례)가 지수에 비정상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법정동은 분석에서 제외하거나 별도로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인구수가 1만 명이 되지 않는 16개 동을 제외하고, 14개 동만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08> 20192023년 안산시 법정동별 마을공동체의 인구 규모 대비 공동체 지수와 보조금 지수

 

연번

법정동

인구수

공동체()

인구 규모 대비 공동체 지수

보조금(천원)

인구 규모 대비 보조금 지수

01

사동

101,601

65

0.97

451,878

1.11

02

고잔동

86,717

68

1.19

447,277

1.29

03

본오동

76,156

51

1.02

207,180

0.68

04

선부동

64,565

26

0.61

148,484

0.58

05

초지동

44,451

21

0.72

150,640

0.85

06

와동

36,697

19

0.79

154,500

1.05

07

월피동

30,746

18

0.89

99,840

0.81

08

원곡동

29,834

21

1.07

113,152

0.95

09

일동

26,666

44

2.50

302,261

2.84

10

부곡동

26,178

7

0.41

33,000

0.32

11

성포동

25,096

11

0.67

36,500

0.36

12

신길동

21,222

16

1.14

83,694

0.99

13

이동

19,583

13

1.01

64,947

0.83

14

건건동

12,959

17

1.99

113,828

2.20

합계

602,471

397

1.00

2,407,181

1.00

 

 

 

 


 

 

‘20192023년 안산시 법정동별 마을공동체의 인구 규모 대비 공동체 지수에서는 일동이 2.50점으로 1등입니다. 인구 규모가 같다고 가정했을 때, 일동은 안산시의 상위 14개 법정동 전체 대비 2.5배 공동체가 많다는 뜻입니다.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 3개 유형의 마을공동체 사업에서 안산시 상위 14개 법정동이 평균적으로 주민 1,518명당 1개의 마을공동체가 활동했는데, 일동은 606명당 1개의 마을공동체가 활동했습니다. 동 시기 부곡동의 지수는 0.41점으로 3,740명당 1개의 마을공동체가 활동했습니다. 여기에서 지수는 공동체가 얼마나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대적 지표가 됩니다. 인구 규모가 같다고 전제할 때, 일동이 부곡동보다 6.1배 공동체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20192023년 안산시 법정동별 마을공동체의 인구 규모 대비 보조금 지수를 살펴보면, 일동이 2.84점으로 1등입니다. 인구 규모가 같다고 가정했을 때, 일동은 안산시의 상위 14개 법정동 전체 대비 약 2.84배의 보조금을 받았다는 뜻입니다. ,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 3개 유형의 마을공동체 사업에서 안산시 상위 14개 법정동이 평균적으로 주민 1인당 3,995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았는데, 일동은 주민 1인당 11,335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동 시기 부곡동의 지수는 0.32점으로 주민 1인당 1,261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여기에서 지수는 보조금이 얼마나 지원되었는가를 보여주는 상대적 지표가 됩니다. 인구 규모가 같다고 전제할 때, 일동이 부곡동보다 약 8.9배의 보조금을 더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5. 분석적 함의와 추가 과제

 

우리는 지금까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 안산시 마을공동체를 사례로 시군 집중분석을 시도했습니다. 경데아에 축적된 데이터만 가지고도 다양한 분석과 해석을 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까지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적 함의와 추가 과제를 제시해 보겠습니다.

 

첫째, 2022년 대비 2023년 경기도 마을공동체 사업의 전반적인 축소와 위축 경향은 안산시에서도 전형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주요 요인은 시군 공모사업과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에서 시군비의 절대적 감소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 요인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저는 마을공동체 공모사업을 사회 R&D’ 사업의 일환으로 봅니다. 공공 행정과 기업이 주목하지 못하는 마을의 사회 문제를 주민들이 직접 해결책을 모색하는 현장형 연구 개발 사업이 향후 마을공동체 활동의 정당성의 원천이자, 기능과 역할이 되어야 합니다. 시혜성 퍼주기, 돈 먹는 하마, ATM 기기, 성과 측정 불가라는 폄하적 평가에 당당히 맞설 시기가 되었습니다. 마중물 이후는 지원 축소나 중단이 아니라, 대규모 예산 투입을 통한 본 사업으로 도약입니다. 보조금 지원과 지원조직 체계의 적정 구축을 통해 사회 R&D’ 사업으로서 마을공동체 사업의 질적 전환이 필요합니다. 질적 도약의 물꼬는 어디에서 시작되어야 할까요? 저는 그 시작이 경기도의 어느 한 시군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그것도 아주 놀랄 정도로 과감했으면 좋겠습니다.

 

둘째, 경기도-시군 매칭 공모사업이나 시군 공모사업은 행정 지원의 특성으로 공정한 기회와 함께 결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 이상으로 경기도마을공동체지원센터와 같은 중간지원조직은 더욱 특성화, 전략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지난 5년간 안산시 마을공동체에서 공모사업이 전혀 없었던 9개 법정동 같은 지역은 경기도 31개 시군에 상당히 많을 것입니다. 마을공동체 활동을 경험하지 못한 지역에 대한 특별 공모 혹은 초기 지원 등의 공모사업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셋째, 데이터는 데이터일 뿐입니다. 데이터로 보이지 않는 마을공동체 현장에 대한 존중이 행정, 지원조직, 연구자 모두에게 필요합니다. 현장의 마을 활동을 공동체의 수, 보조금의 액수를 기준으로 표로 가르고, 그림으로 구획하는 일을 왜 하고 있을까요?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다음 과제를 찾고, 더욱 필요한 지원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도구가 목표가 되면 안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인식 전환이 필요합니다. 마을공동체 데이터 표본이 작으면 유의미한 결과를 위해 해당 사례는 연구 분석에서 제외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의 엄밀성 이후에는 표본의 크기를 늘릴 이유를 찾고, 정책적 제안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시군 단위, 동 단위 분석은 기본적으로 맥락에 둔감해지게 합니다. 데이터의 평균값이나 지수는 특정 지역이나 마을의 문화적, 사회적, 환경적 맥락을 잘 보여주지 못하는 숫자로만 읽힙니다. 그 숫자 뒤에 있을 법한 맥락을 찾아야 합니다. 정량 분석은 기본적으로 정성 분석으로 뒷받침되어야 하고, 정량 분석을 하는 이유는 어떤 정성 분석을 할 것인가를 찾는 과정이어야 합니다. 데이터 분석은 기본적으로 개별성을 무시합니다. 공동체의 수, 보조금 총액, 그리고 그것의 평균으로 마을공동체의 개성이 사라집니다. 저는 집합 데이터의 특성 분석 못지않게, 개별 마을공동체의 생성, 전개, 발전, 도약 과정에 대한 양적, 질적 성과 분석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표 성공 모델의 성과 지표 산출을 통해 마을공동체의 개별성을 살려 나가는 것이 향후 중요 과제입니다.

 

경데아가 단순한 양적 데이터의 축적 장소가 아니라, 그에 대한 분석적 해석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성화의 정당성, 마을공동체의 맥락적 이해도, 마을공동체의 개별성을 확장해 나가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다시 강조합니다. 데이터는 데이터일 뿐입니다.

 

 

목록보기
TOP